Sumin
12월 24, 2024
포커 용어 사전
포커의 세계로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! 이 페이지는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모든 플레이어를 위한 필수 포커 용어 사전입니다. 포커 게임의 핵심 용어들을 쉽고 간결하게 설명해 드립니다. 포커 테이블에서 자신감 있게 소통하고 게임을 즐기세요!
CoinPoker
ㄱ
- 개퍼 (gapper)
: 핸드를 이루는 두 카드의 숫자가 띄어진 경우를 말합니다. (예시: 2-4, 3-5, 4-6, 5-7, 9-7) - 것샷 스트레이트 (gutshot straight)
: 카드 한 장만 추가되면 스트레이트가 완성되는 드로우 상태를 의미합니다. (예시: Hero: 3, 6 / Board: K, 2, 5) - 그라인더 (grinder)
: 장기적인 포커 플레이를 통해 수익으로 생계를 이어가는 포커 플레이어를 지칭합니다. - 기댓값 (EV; expectation value)
: 특정한 의사결정을 장기적으로 반복했을 때 예상할 수 있는 평균 수익을 뜻합니다. 이번 핸드의 결과와 상관없이 장기적인 수익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. (예시: +EV, 0, -EV)
ㄴ
- 너트 (nuts, nut hands)
: 현재 주어진 상황에서 가능한 최고의 족보를 갖춘 핸드입니다. 넛 혹은 넛 핸드와 같은 표현입니다. - 노리밋 (NL; no limit)
: 플레이어가 자신이 가진 칩을 제한 없이 베팅할 수 있는 규칙입니다. - 넛뽀쁠 (nut four flush, nut flush draw)
: 가장 높은 플러시를 만들 수 있는 드로우 핸드를 의미합니다. - 넛플러시 (nut flush)
: 커뮤니티 카드에 같은 무늬의 카드가 여러 장 있을 때, 가장 높은 플러시 족보를 가진 핸드를 말합니다. - 니트 (nit)
: 극도로 타이트한 핸드 레인지를 고수하는 플레이어를 의미합니다. 니트 플레이어는 확실한 승산이 없으면 거의 콜을 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. - 니어 넛 (near nut)
: 거의 최고에 가까운 핸드이지만, 엄밀히는 최강 핸드인 너트에 미치지 않는 핸드입니다.
ㄷ
- 다운 벳 (down bet)
: 이전 베팅 라운드보다 낮은 금액을 베팅하는 것을 말합니다. - 다운스윙 (down swing)
: 플레이어가 운이나 기타 요인 탓에 계속 패배하는 기간을 의미합니다. - 다운 카드 (down card)
: 공개되지 않고 뒤집어진 상태의 카드를 말합니다. - 더블업 (double up)
: 칩 스택을 두 배로 늘리는 상황으로, 주로 올인 후 승리할 때 발생합니다. - 데드 머니 (dead money)
: 팟에 남은 플레이어가 베팅한 금액 외에, 폴드한 플레이어나 블라인드를 놓친 후 복귀한 플레이어가 기여한 금액 등과 같은 팟에 남은 금액을 의미합니다. - 데드 블라인드 (dead blind)
: 라이브 블라인드가 아닌 블라인드로, 다른 플레이어가 콜만 하면 레이즈 옵션이 없는 경우를 의미합니다. 주로 게임에 새로 참여하거나 복귀하는 플레이어가 빅 블라인드와 같은 금액으로 스몰 블라인드를 게시할 때 발생합니다. - 데드 핸드 (dead hand)
: 규정 위반으로 인해 딜에 참여할 자격을 잃은 핸드로, 예를 들어 다른 플레이어의 카드를 건드리거나, 강제 베팅을 하지 않는 등의 이유로 발생합니다. - 도미네이트 (핸드) (dominated hand)
: 패 자체는 나쁘지 않으나 특정 패를 상대로 승리 확률이 극히 낮은 핸드를 의미하며, 텍사스 홀덤에서 자주 사용됩니다. 다른 말로는 ‘압도’라고도 합니다. - 동크벳 (donk bet)
: 이전 베팅 라운드에서 주도권이 없었던 플레이어가 초기 포지션에서 베팅하는 것으로, 주로 비숙련 플레이어들이 많이 사용하면서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습니다. - 동키 (donkey)
: 약한 플레이어를 지칭하는 표현으로, ‘피쉬’라고도 불립니다. - 듀스 (deuce, duck) = 덕
: 숫자 2의 카드를 말하며, ‘덕’이라고도 합니다. - 드로우 (draw, draw hand)
: 특정 카드를 얻으면 핸드가 훨씬 강해질 수 있는 상황을 의미합니다. 주로 플랍, 턴, 리버에서 필요한 카드(아웃츠)를 기다리는 핸드로 ‘드로우 핸드’라고도 합니다. - 드로우 아웃 (draw out)
: 상대가 나보다 강한 패를 가지고 있을 때, 추가 카드로 내 핸드를 개선하여 이길 수 있게 되는 상황입니다. - 드로잉 데드 (drawing dead)
: 어떤 카드를 받더라도 승리할 가능성이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. - 디펜스 (defense)
: 블러프일 가능성이 높은 상대의 베팅에 콜하거나 레이즈하여 블러프를 방어하는 플레이를 뜻합니다. - 딜 (deal)
: 카드를 나눠주는 행위로, 딜러는 딜러 버튼을 가진 플레이어의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카드를 한 장씩 분배합니다. - 딜러 (dealer)
: 카드를 나누는 역할을 하는 사람으로, 물리적으로 딜링하지 않더라도 베팅 순서 지정 등의 게임 진행을 위해 역할을 맡습니다. - 딥스택 (deep stack) = 빅스택
: 플레이하는 판돈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칩 스택을 보유한 상황으로, ‘빅 스택’이라고도 하며, ‘숏 스택’과 반대의 상황을 말합니다.
ㄹ
- 락 (rock)
: 토너먼트 플레이와 달리 각 핸드를 게임 재화로 플레이하는 게임을 말합니다. - 래빗헌팅 (rabbit hunting)
: 폭스 헌팅이라고도 불리며, 플레이어가 폴드하여 해당 판이 종료된 경우, 오픈되지 않은 턴, 리버 카드를 보는 행위를 말합니다. 일반적으로 카지노에서는 허용되지 않습니다. - 러너러너 (runner-runner)
: 턴과 리버에서 연속으로 두 장의 카드를 받으며 족보를 완성하는 상황을 말합니다. ‘백도어’라고도 합니다. - 레벨 (level)
: 토너먼트에서 블라인드가 점진적으로 올라가는 단계를 말합니다. ‘블라인드 레벨’이라고도 합니다. - 레이즈 (raise)
: 같은 베팅 라운드에서 기존의 베팅 금액을 올리는 베팅 전략입니다. 발음에 따라 ‘레이스’라고 하기도 합니다. - 레이크 (rake)
: 포커 게임을 운영하는 카드룸에서 수취하는 수수료입니다. - 레이크백 (rakeback)
: 플레이어가 지불한 레이크의 일부를 리베이트나 상환 형태로 돌려주는 것을 의미합니다. 이는 온라인 포커룸, 제휴사, 또는 오프라인 포커룸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지급됩니다. - 레이트 포지션 (LP; late position)
: 프리플랍에서 가장 마지막에 액션하는 두 자리의 포지션을 의미합니다. 이 위치의 플레이어는 전략적으로 유리하며, ‘컷오프(CO)’와 ‘버튼(BTN)’으로 구분됩니다. - 레인보우 (rainbow)
: 서로 다른 무늬의 카드 3~4장이 플랍에 깔린 상황을 의미합니다. ‘레인보우 베팅’은 다양한 색상의 칩을 한 번에 베팅하는 것을 말합니다. 한국어로 번역하여 ‘무지개’라고도 합니다. - 로우잭 (LJ; lojack)
: 미들 포지션의 왼쪽 자리를 의미하며, 6-핸드 포커에서는 언더 더 건(UTG)과 같은 위치입니다. - 로얄 카드 (royal cards)
: 얼굴/ 그림 카드라고도 하며, 모든 무늬의 잭, 퀸, 킹을 말합니다. - 로얄 플러시 (royal flush)
: A를 포함한 같은 무늬의 A, K, Q, J, 10으로 이루어진 플러시입니다. 포커에서 가장 높은 족보이며 줄여서 로티플이라고도 합니다 - 루즈 (loose)
: 평균적인 플레이어보다 더 많은 핸드를 플레이하는 스타일을 의미합니다. - 리드로우 (redraw)
: 핸드를 만들고 더 나은 핸드를 위해 무승부를 기다리는 상황입니다. 여러 번의 무승부가 있는 게임에서 두 번째 이상의 무승부를 의미하기도 합니다. - 리바이 (rebuy)
: 게임 시작 후 일정 기간, 토너먼트에서 초기 칩 스택 이하가 되면 추가 칩을 구매하는 것을 말합니다. - 리버 (river)
: 커뮤니티 카드 중 마지막으로 공개되는 카드입니다. 리버 후 2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남아 있으면 쇼다운으로 이어집니다. - 리레이즈 (reraise)
: 상대의 레이즈에 다시 레이즈하는 것을 말합니다. - 림프 (limp (in))
: 프리플랍에서 빅 블라인드를 콜하는 소극적인 플레이를 의미합니다. 이는 보통 핸드가 약하거나 평범할 때 사용됩니다. - 림프 리 레이즈 (limp-re-raise)
: 프리플랍에서 림프한 후 상대가 레이즈하면 다시 리레이즈하는 플레이를 말합니다. - 링게임 (ring game)
: 토너먼트와 달리 각 핸드를 게임 재화를 걸고 플레이하는 방식입니다.
ㅁ
- 마 (Queen card)
: 한국에서만 사용되는 용어로 ‘마담’이라고도 하며, 퀸 카드를 지칭합니다. - 마른 보드 (dry board)
: 서로 조합이 잘되지 않는 커뮤니티 카드들로 구성된 보드이며, 영어 그대로 웻보드라고도 합니다. 이때 플레이어가 스트레이트나 플러시를 만들 가능성은 작습니다. - 마지널 핸드 (marginal hand)
: 강하지도 약하지도 않은, 승률이 낮은 중간 수준의 핸드. 일반적으로 낮은 숫자이거나 수트가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. - 매니악 (maniac)
: 매우 느슨하고 공격적인 플레이 스타일을 가진 플레이어로, 자주 베팅하고 레이즈하는 특징이 있습니다. - 맥스 (max)
: 팟에 쌓인 최대치까지 베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 - 먹 (muck)
: 카드를 공개하지 않고 폴드하거나 패배를 인정하는 상황을 말합니다. 주로 대결 없이 승리했을 때나, 상대가 더 좋은 패를 보여줬을 때 사용됩니다. - 멀티웨이 (multi way, multi way pot)
: 세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참여하는 팟을 지칭 하며, 멀티웨이팟이라고도 합니다. - 멀티테이블 토너먼트 (MTT; muti table tournament)
: 여러 테이블에서 동시에 진행되는 포커 토너먼트를 의미합니다. 싱글 테이블 토너먼트와는 차이가 있습니다. - 미들 페어 (middle pair)
: 커뮤니티 카드 중 중간값의 카드로 원 페어를 이룬 상황을 말합니다. - 미들 포지션 (MP; middle position)
: 얼리 포지션 바로 다음에 위치한 세 자리의 포지션을 말합니다. 이 중 가장 나중의 자리는 ‘하이잭(HJ)’이라고도 합니다.
ㅂ
- 바운티 (bounty)
: 다른 플레이어를 탈락시킬 때 현상금을 받는 토너먼트 형식입니다. - 바이인 (buy-in)
: 토너먼트나 게임에 참여하기 위해 지불하는 금액으로, 상금 풀과 연관이 있습니다. - 바텀 페어 (bottom pair)
: 보드의 가장 낮은 카드와 자신의 홀 카드로 이루어진 한 쌍의 패입니다. - 바이시클 스트레이트 (bicycle Straight)
: ‘A2345’로 이루어진 스트레이트로, 한국에서는 ‘백 스트레이트’라고 부르며, 세븐 포커에서는 높은 스트레이트로, 홀덤에서는 가장 낮은 스트레이트로 간주합니다. - 배드빗 (bad beat)
: 유리한 핸드를 가지고 있음에도 커뮤니티 카드로 인해 상대의 약한 핸드에 패배하는 상황입니다. - 배럴 (barreling)
: 프리플랍에서 레이즈한 후, 플랍에 이어 턴에도 베팅하는 것을 말합니다. 플랍, 턴, 리버까지 베팅할 경우 ‘트리플 배럴’이라고 합니다. 발음에 따라 ‘바렐’이라고도 합니다. - 백도어 (back door)
: 두 라운드를 더 채워야 완성되는 드로우 핸드로, 의도한 패가 아닌 다른 패가 만들어지는 경우입니다. - 밸런스 (balance)
: 플레이 방식을 다르게 해서 상대가 자신의 핸드를 예측하게 어렵게 만드는 전략입니다. - 밸류벳 (value bet)
: 상대가 약한 핸드로 콜하게 만들어 가치(밸류)를 극대화하는 베팅으로, 블러프와는 반대입니다. - 뱅크롤 (bankroll)
: 포커를 위해 준비한 자금을 뜻합니다. - 버블 (bubble)
: 토너먼트에서 상금 바로 직전의 순위를 말합니다. - 버튼 (BTN; button)
: 테이블에서 딜러 위치를 나타내는 마커로, ‘딜러’와 같은 의미입니다. - 번카드 (burn card)
: 베팅 라운드 전, 혹시 모를 카드 표시를 방지하기 위해 맨 위의 한 장을 버리는 카드입니다. 간단하게 ‘번’이라고도 합니다. - 벳 (bet, betting)
: 플레이 중에 베팅한 모든 금액을 뜻합니다. ‘베팅’이라고도 합니다. - 보드 (board)
: 커뮤니티 카드 전체로, 홀덤에서는 5장입니다. - 브레이크 (break)
: 토너먼트 도중의 휴식 시간입니다. - 블라인드 (blind)
: 스몰 블라인드와 빅 블라인드의 총칭입니다. 스몰 블라인드는 딜러의 왼쪽에, 빅 블라인드는 그다음 위치에 있습니다. - 블라인드 스틸 (blind steal)
: 다른 플레이어들이 폴드한 후 레이즈하여 블라인드와 앤티를 획득하려는 전략입니다. - 블라커 (blocker)
: 상대의 드로우 카드 중 하나를 자신의 핸드에 가지고 있는 경우를 뜻합니다. - 블라킹벳 (blocking bet)
: 포지션이 불리할 때 상대의 큰 베팅을 막기 위해 일부러 작은 베팅을 하는 경우입니다. - 블랭크 (blank)
: 명백히 가치가 없는 커뮤니티 카드를 의미하며, ‘정크’라고도 합니다. - 블러프 (bluff)
: 상대를 폴드시키기 위해 자신의 핸드가 강하다고 믿게 만드는 베팅입니다. - 빅 블라인드 (BB; big blind)
: 두 블라인드 중 더 큰 금액을 의미합니다.
ㅅ
- 사이드 팟 (side pot)
: 한 플레이어가 ‘올인’을 한 상황에서 다른 플레이어들의 칩이 해당 플레이어보다 많을 때, 별도로 형성되는 팟입니다. - 새틀라이트 (satellites)
: 더 높은 상금의 토너먼트 참가 티켓을 얻기 위한 예선 토너먼트입니다. - 샤크 (shark)
: 게임에서 수익을 내며 실력을 인정받는 프로급 포커 플레이어를 가리킵니다. (주로 ‘피쉬’를 상대하는 능력에서 유래) - 세미 블러프 (semi bluff)
: 여러 베팅 라운드가 있는 게임에서, 가능성 있는 패로 현재 라운드에서 더 나은 핸드가 폴드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베팅이나 레이즈를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 - 셋 (set)
: 세 장의 카드로, 특히 플레이어의 홀 카드 두 장이 같은 숫자/문자로 숨겨진 경우를 말합니다. - 셋 마이닝 (set mining)
: 프리플랍에서 포켓 페어를 들고 트립스를 만들기 위해 팟에 참여하는 전략입니다. - 쇼다운 (show down)
: 마지막 베팅 라운드 후 남은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카드를 오픈하여 승자를 결정하는 과정입니다. - 숏스택 (short stack)
: 블라인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칩을 가진 상태입니다. - 수딧 (suited)
: 두 장의 핸드 카드가 동일한 무늬인 경우를 말합니다. - 수딧 커넥터 (suited connetors)
: 두 장의 핸드 카드가 동일한 무늬이며 숫자가 연속된 경우입니다. - 스냅 콜 (snap call)
: 핸드가 강하다고 확신해 망설임 없이, 주로 올인에 대응하여 빠르게 콜하는 것을 말합니다. - 스몰 블라인드 (SB; small blind)
: 테이블에서 적은 금액을 거는 블라인드입니다. - 스퀴즈 (squeeze play)
: 앞의 플레이어가 레이즈하고 다른 플레이어가 콜했을 때, 큰 레이즈를 해서 폴드를 유도하는 전략입니다. 주로 상대가 루즈하다고 생각될 때 블러프로 활용되며, ‘스퀴즈 플레이’라고도 합니다. - 스타팅 핸드 (starting hand)
: 플레이어가 처음 받은 핸드 카드를 의미합니다. - 스택 (stack)
: 특정 시점에 플레이어가 보유한 총 칩 양입니다. 일반적으로 정돈된 열로 배열된 같은 액면가의 포커 칩 20장을 말하기도 합니다. - 스테이크 (stake)
: 바이인 및 베팅에 사용할 수 있는 금액으로, 보통 빅 블라인드와 함께 사용됩니다. - 스트럭처 (structured)
: 베팅과 블라인드 크기가 레벨마다 달라질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. - 스트레이트 (straight)
: 5장의 연속된 숫자 카드로 구성된 포커 핸드입니다. 한국에서는 ‘줄’이라고도 합니다. - 스트레이트 드로우 (straight draw, open-ended straight draw)
: 순서대로 4장의 카드가 나와 스트레이트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핸드입니다. (양쪽 끝에서 완성될 수 있음) - 스트레이트 플러시 (straight flush)
: 같은 문양으로 구성된 5장의 연속된 숫자 카드 핸드를 의미합니다. - 스트래들 (straddle)
: 플레이어가 카드가 달린 되기 전에 선택적으로 하는 블라인드 베팅입니다. 주로 빅 블라인드의 두 배이며, 이후 플레이어는 마지막으로 프리플랍을 할 수 있습니다. 이는 판돈을 늘리고 더 공격적인 플레이를 유도합니다. - 스트릿 (street)
: 카드가 딜링되거나 각 베팅 라운드를 의미하는 포커 용어입니다. - 스틸 (steal)
: 프리 플랍에서 베팅하여 상대의 폴드를 유도하고 블라인드를 가져가는 행위를 말합니다. - 슬로우 플레이 (slow play)
: 강한 핸드를 약한 것처럼 보이도록 천천히 플레이하여 상대를 속이는 방법입니다. 특히 ‘넛 핸드’로 슬로우 플레이할 때는 매너에 어긋날 수 있습니다. - 싯앤고 (sit and go)
: 정해진 인원이 모이면 즉시 시작해 한 명이 남을 때까지 진행되는 토너먼트 형식입니다. - 썩 아웃 (suck out)
: 강한 핸드가 약한 패에게 마지막 카드로 인해 패배하는 상황입니다. 이를 ‘썩 아웃됐다’고 표현합니다. - 쓰리 오브 어 카인드 (three of a kind)
: 같은 숫자/문자의 카드 세 장과 다른 두 장의 카드로 구성된 핸드입니다. ‘트리플’과 같은 말입니다. - 씬밸류 (thin value bet)
: 상대가 콜할 때 약간 유리한 확률로 이길 것으로 예상하며, 비교적 한계가 있는 핸드로 가치 베팅을 하는 것입니다.
ㅇ
- 아 (Ace card)
: 한국에서만 사용되는 용어로, ‘에이스’ 카드를 지칭합니다. - 아웃 포지션 (OOP; out of position)
: 플레이어가 가장 먼저 행동해야 하는 위치에 있는 것을 말합니다. 프리플랍에서는 언더 더 건이나 미들 포지션이 이에 해당합니다. - 아웃츠 (outs)
: 특정 플레이어가 상대를 역전하기 위해 필요한 카드의 수를 말합니다. 아웃츠가 전혀 없을 때는 ‘드로잉 데드’ 상태입니다. - 아이솔레이션 (isolation)
: 헤즈업 플레이를 위해 한 명의 상대를 제외하고 모두 폴드시키려는 의도로 플랍 전에 레이즈하는 것을 말합니다. 주로 림프한 상대에 대한 공격으로 이루어집니다. - 애드온 (add-on)
: 토너먼트에서 탈락하기 전에 추가 칩을 구매하는 것입니다. 블라인드 일정 이후, 브레이크 타임에 한 번만 허용됩니다. - 액션 (action)
: 플레이어가 자신의 차례에 베팅, 콜, 레이즈, 폴드 중 하나를 선택해 행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 - 액티브 플레이어 (active player)
: 아직 팟에 참여 중인 플레이어로, 폴드하지 않고 남아 있는 사람을 뜻합니다. - 앤티 (ante)
: 핸드 시작 전에 모든 플레이어가 지불하는 참가비(강제 베팅)로, 일부 게임에서만 사용됩니다. - 어그레시브 (aggressive)
: 콜이나 체크보다 베팅이나 레이즈를 자주 시도하는 공격적인 플레이 성향을 의미합니다. - 언더더건 (UTG; under the gun)
: 텍사스 홀덤이나 오마하에서 빅 블라인드 왼쪽에 위치한 자리로, 프리플랍 베팅 라운드에서 첫 번째로 행동해야 하는 위치입니다. - 언더 페어 (under pair)
: 보드의 어떤 카드보다 낮은 랭크로 이루어진 포켓 페어를 말합니다. 따라서 보드에 있는 모든 페어가 언더 페어를 이길 수 있습니다. - 얼리 포지션 (EP; early position)
: 빅 블라인드 왼쪽에 위치한 두 자리의 포지션입니다. 프리플랍에서 가장 먼저 행동해야 하는 위치로, ‘언더 더 건(UTG)’과 ‘UTG+1’로 나뉩니다. - 업스윙 (up swing)
: 플레이어가 기대보다 많이 따거나 적게 잃는 기간을 의미하며, 다운스윙의 반대 개념입니다. - 에어라인 (pocket aces)
: 플레이어의 핸드에 에이스 두 장이 있는 상황을 의미합니다. - 에이스 하이 (Ace high)
: 가장 높은 카드가 에이스이며, 페어 이상의 조합이 없는 핸드를 뜻합니다. 한국에서는 ‘A탑’이라고도 합니다. - 에쿼티 (equity)
: 현재 팟에서의 수학적 기대값으로, 팟 금액에 자신이 이길 확률을 곱해 계산합니다. 때에 따라 분할 확률도 포함됩니다. 발음의 차이에따라 ‘에퀴티’라고도 합니다. - 오버벳 (overbet)
: 팟 금액보다 큰 베팅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. - 오버카드 (overcard)
: 플레이어의 포켓 페어보다 높은 랭크의 커뮤니티 카드를 가리킵니다. - 오버페어 (overpair)
: 가장 높은 커뮤니티 카드보다 더 높은 숫자/문자의 포켓 페어를 말합니다. - 오프수딧 (off-suited)
: 서로 다른 무늬의 카드를 의미하며, ‘오프숫’이라고도 합니다. - 오픈레이즈 (open raise)
: 프리플랍에서 첫 번째로 이루어진 레이즈를 말합니다. 일반적으로 빅 블라인드 금액을 올리는 것으로, 이때 ‘베팅’과 ‘레이즈’라는 용어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합니다. 핸드에 남고자 하는 플레이어는 현재 베팅된 금액을 콜하거나 레이즈해야 합니다. 짧게 ‘오픈’이라고도 표현합니다. - 올인 (all-in, shove)
: 플레이어가 자신이 보유한 모든 칩을 베팅하는 상황을 뜻합니다. ‘셔브’라고도 표현합니다. - 옵션 (option)
: 프리플랍에서 레이즈가 없을 때, 빅 블라인드가 체크나 레이즈를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을 말합니다. - 원페어 (one pair)
: 같은 숫자/문자 카드 두 장이 있는 핸드를 의미합니다. - 익스플로잇 (exploit)
: 포커에서 상대의 약점을 이용하는 전략을 뜻합니다. 느슨하게 플레이하거나 블라인드 스틸을 시도하는 플레이어에게 적용되는 전략으로, 리버스 블러핑 등을 통해 이를 공략합니다. - 인더머니 (ITM; in the money)
: 토너먼트에서 상금을 받을 수 있는 순위에 도달한 상태를 의미합니다. - 인포지션 (IP; in position)
: 플랍, 턴, 리버 베팅 라운드에서 상대보다 마지막에 행동할 수 있는 위치를 말합니다. 프리플랍에서는 빅 블라인드, 스몰 블라인드, 딜러가 해당됩니다. - 임플라이드 오즈 (implied odds)
: 드로우 핸드가 완성될 때 기대할 수 있는 수익을 말하며 번역하면 ‘잠재적 배당’ 입니다. 예를 들어 플러시 드로우를 완성해 상대에게서 큰 수익을 얻을 가능성이 있을 때 임플라이드 오즈가 충분하다고 표현합니다.
ㅈ
정크 (junk) : 기대 가치가 거의 없고 승리 가능성이 낮은 핸드를 의미합니다. ‘블랭크 카드’라고도 합니다.
젖은 보드 (wet board) : 웨트 보드는 일반적으로 연속된 숫자나 같은 무늬의 카드들로 구성되어 있어, 플레이어가 강한 핸드를 가질 가능성을 높입니다. 이러한 보드는 게임 내 액션을 더욱 활발하게 만들기도 합니다. 영어 그대로 ‘웻 보드’, ‘웨트 보드’라고도 합니다.
ㅊ
- 찹 (chop, split)
: 동점이나 플레이어 간의 합의에 따라 팟을 나누는 것으로, 짧은 시간 동안 게임을 진행한 후 현금화하는 경우를 포함합니다. 특히 토너먼트에서는 남은 플레이어들이 상금을 분배하기로 합의하는 상황에서 자주 발생합니다. - 체크 (check)
: 앞선 플레이어가 베팅하지 않은 경우, 베팅 없이 다음 플레이어에게 턴을 넘기는 것을 말합니다. - 체크 레이즈 (check-raise)
: 강한 패를 가지고 있거나 블러프를 의도할 때, 먼저 체크를 한 뒤 상대가 베팅하면 이를 레이즈로 응답하는 전략입니다. - 최초 벳 (Initial bet)
: 핸드 시작 전에 지불해야 하는 초기 베팅 금액으로, 모든 플레이어가 게임에 참여하기 위해 필요한 강제 베팅입니다. 이는 초기 팟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‘앤티’라고도 합니다. - 칩 (chip)
: 현금 대신 게임에서 사용되는 작은 동전 모양의 토큰을 말합니다. - 칩 덤핑 (chip dumping)
: 특정 플레이어에게 고의로 칩을 넘겨주는 전략으로, 짜고 치기의 일종입니다. 고의성이 명확할 경우 제재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 - 칩 리더 (chip leader)
: 토너먼트에서 현재 가장 많은 칩을 보유한 플레이어를 의미합니다. - 짜 (Jack card)
: 한국에서만 사용되는 용어로, 잭 카드를 지칭합니다.
ㅋ
- 카 (King card)
: 한국에서만 사용되는 용어로, 킹 카드를 지칭합니다. - 캐쉬 게임 (cash game)
: 토너먼트와는 달리 각 핸드가 실제 돈으로 플레이되는 게임을 의미합니다. - 커넥터 (connector)
: 연속된 두 장의 카드를 의미합니다. - 커뮤니티 카드 (community card)
: 모든 플레이어가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보드 중앙의 5장 카드를 말합니다. - 컨벳 (C-bet; continuation bet)
: 플랍 이전에 베팅한 플레이어가 플랍 이후에도 이어서 하는 베팅을 의미하며, ‘컨티뉴에이션 벳’이라고도 합니다. - 컷오프 (CO; cutoff)
: 딜러 버튼 바로 오른쪽에 위치한 자리로, 홈 게임에서 덱을 컷하는 역할을 하는 플레이어입니다. - 코인 플립 (coinflip)
: 서로 올인인 경우, 50%의 확률로 둘 다 이길 수 있는 상황을 말합니다. - 콜 (call)
: 앞의 베팅에 따라가는 행위를 의미합니다. - 콜드 콜 (cold call)
: 앞 사람의 레이즈에 대해 콜하는 경우를 말합니다. - 콜링 스테이션 (calling station)
: 베팅에 자주 콜하지만 거의 레이즈하지 않는 패시브한 플레이어를 의미합니다. - 쿨러 (cooler)
: 자신의 핸드가 강해도 상대방의 더 강한 핸드에 져서 아쉬운 상황을 말합니다. - 쿼터 (quarter)
: 포카드와 동의어로 사용됩니다. - 크라잉 콜 (crying call)
: 지고 있는 것을 알면서도 확인하기 위해 하는 콜을 의미합니다. - 키커 (kicker)
: 동일한 족보일 때 순위를 결정하는 두 번째 카드로, 사이드 카드라고도 합니다.
ㅌ
- 타이 (tie)
: 쇼다운에서 족보가 동일한 경우를 말하며, 팟을 똑같이 나눈다는 의미입니다. ‘스플릿’이라고도 표현됩니다. - 타이트 (tight)
: 평균적인 플레이어보다 적은 수의 핸드를 플레이하는 플레이어를 의미합니다. 좋은 핸드만으로 게임에 참여하게 됩니다. - 타이트 어그레시브 (tight aggressive)
: 강한 핸드로만 플레이하면서도 팟에 있을 때는 공격적으로 행동하는 경기 형태입니다. - 탑 페어 (top pair)
: 핸드 카드와 커뮤니티 카드 중 가장 높은 카드로 구성된 페어를 의미합니다. - 탑투 (top two)
: 가장 높은 숫자의 커뮤니티 카드 두 장과 일치하는 두 페어를 말하며, 주로 플랍에서 사용됩니다. - 탑키커 (top kicker)
: 주어진 족보에서 가능한 최고의 키커를 의미합니다. - 태그 (tag (tight aggressive))
: 타이트하고 공격적인 플레이 스타일로, 소수의 강한 시작 패만 플레이하지만 팟에 참여하면 적극적으로 공격하는 방식입니다. - 터보 (turbo)
: 블라인드 레벨이 일반 플레이보다 빠르게 증가하는 토너먼트 유형입니다. - 턴 (turn)
: 4번째 베팅 라운드로, 커뮤니티 카드 중 4번째 카드를 말합니다. 턴 이후에는 리버로 이어집니다. - 텔 (tell)
: 플레이어의 행동이나 변화로부터 핸드 레인지를 유추할 수 있는 단서를 의미합니다. - 토너먼트 (tournament)
: 토너먼트 칩을 모두 잃거나 마지막 한 명의 플레이어가 남을 때까지 진행되는 대회 형식입니다. - 투페어 (two pairs)
: 한 등급의 카드 두 장과 다른 등급의 카드 두 장으로 구성된 핸드에, 세 번째 등급의 카드 한 장(키커)이 추가된 조합입니다. - 트리플 (triple)
: 같은 숫자의 카드 3장으로 구성된 족보를 의미합니다. - 트립스 (trips)
: 보드에 2장과 핸드의 1장이 만나 조합을 만든 트리플을 의미합니다. 한국에서는 이 조합도 ‘트리플’이라고 표현합니다. - 틸트 (tilt)
: 배드 빗, 쿨러, 피곤함 등의 이유로 플레이어가 원래 컨디션으로 플레이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. 보통 화가 난 상태를 ‘틸트 왔다’고 표현합니다.
ㅍ
- 파이널 테이블 (final table)
: 멀티 테이블 포커 토너먼트의 마지막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테이블로, 보통 9명의 결승 플레이어가 참여합니다. - 파켓 (pocket)
: 핸드에 페어가 있는 경우를 지칭합니다. - 파켓 페어 (pocket pair)
: 플레이어의 핸드 카드 두 장이 같은 숫자/문자로 페어인 경우를 의미합니다. 발음 차이에 따라 ‘포켓 페어’라고도 합니다. - 팟 (pot)
: 한 판에서 모든 플레이어가 베팅한 금액의 총합으로, 승자가 전체 금액을 차지하게 됩니다. - 팟벳 (pot bet, full)
: 현재 쌓인 팟 금액만큼 베팅하는 것을 말합니다. - 팟 오즈 (pot odds)
: 베팅을 콜하기 위해 필요한 금액과 팟 금액의 비율을 의미합니다. - 팟커밋 (pot committed)
: 현재 팟이 자신의 스택에 비해 커서 폴드할 수 없는 상황을 뜻합니다. - 패밀리 팟 (family pot)
: 대부분의 플레이어가 첫 베팅에 콜을 한 경우를 의미합니다. - 패시브 (passive)
: 주로 체크와 콜을 자주 하는 플레이 스타일로, 레이즈를 덜 사용합니다. - 페어 (pair)
: 같은 숫자나 영문으로 이루어진 카드 두 장의 조합입니다. - 포 오브 어 카인드 (four of a kind, quads)
: 같은 숫자나 영문으로 된 카드가 네 장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. ‘쿼즈’ 또는 ‘포카드’로 불리기도 합니다. - 포 스트레이트 (four-straight)
: 네 장의 카드가 연속으로 연결된 상태를 의미하며, 오픈 엔드 또는 원 엔더로 베팅할 수 있습니다. 일부 게임에서는 비표준 포커 핸드로 간주되며, 대부분의 게임에서는 불완전한 드로잉 핸드로 분류됩니다. 때로는 4-스트레이트로도 언급됩니다. - 포 플러시 (four Flush or flush Draw)
: 같은 무늬의 카드 네 장이 있는 조합을 말하며, ‘플러시 드로우’라고도 합니다. - 포지션 벳 (position bet)
: 핸드보다 포지션의 이점을 살려 베팅하는 전략으로, 인 포지션에서 주로 사용됩니다. - 포커 페이스 (poker face)
: 핸드에 대한 단서를 주지 않는 무표정한 표정을 뜻합니다. - 포켓 카드 (pocket cards)
: 플레이어가 받은 두 장의 카드를 말하며, ‘홀 카드’나 ‘핸드 카드’라고도 합니다. - 폴드 (fold)
: 자신의 핸드를 포기하고 팟에서 빠지는 것을 뜻합니다. 직관적으로 죽는다는 뜻인 ‘다이’라고도 합니다. - 폴드 에퀴티 (fold equity)
: 상대가 베팅에 대해 폴드할 확률을 의미합니다. - 푸시 (push)
: 올인 베팅을 하는 것을 뜻하며, ‘올인’과 같은 의미입니다. - 풀 하우스 (full house)
: 같은 숫자의 카드 세 장과 다른 같은 숫자 두 장으로 이루어진 조합으로, 한국에서는 ‘집’이라는 표현도 씁니다. - 풀링 (full ring)
: 6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참여한 링게임을 지칭하며, 주로 온라인에서 사용됩니다. - 프리롤 (freeroll)
: 바이인 없이 참가할 수 있는 이벤트, 주로 토너먼트에서 사용됩니다. - 프리즈아웃 (freeze out)
: 한 번의 참가만 허용되는 토너먼트 형식으로, 탈락 시 재참가가 불가합니다. - 프리 플랍 (pre-flop)
: 핸드 카드를 받은 후 플랍이 나오기 전 베팅 라운드를 말합니다. - 프리 카드 (free card)
: 베팅 없이 공짜로 받은 다음 카드를 뜻합니다. - 플랍 (flop)
: 프리플랍 이후 오픈되는 세 장의 커뮤니티 카드와 그 후의 베팅 라운드를 의미합니다. - 플랫 콜 (flat call)
: 강한 핸드에도 불구하고 레이즈하지 않고 콜만 하는 것을 말합니다. - 플러시 (flush)
: 같은 무늬의 카드 다섯 장으로 이루어진 패로, 스트레이트보다 높고 풀 하우스보다 낮습니다. - 플로트 (float)
: 이후 라운드에서 블러프를 시도하기 위해 상대의 베팅에 콜하는 행위입니다. - 피쉬 (fish)
: 실력이 약한 플레이어를 지칭하는 용어로 ‘동키’와 같은 표현입니다. 피쉬가 많은 테이블을 찾는 것도 전략입니다. - 픽스리밋 (FL; fix limit)
: 리밋이라고도 하며, 특정 베팅 라운드에서 모든 베팅과 레이즈의 금액이 미리 정해져 있는 포커 게임의 베팅 구조 유형을 의미합니다.
ㅎ
- 하이 롤러 (high roller)
: 하이 롤러는 높은 스테이크의 토너먼트에 참가하는 플레이어를 의미합니다. - 하이 카드 (high card)
: 가장 높은 순위의 카드에 따라 순위를 매기는 노 페어 핸드로, 높은 카드와 키커를 사용하여 다른 플레이어를 이길 수 있습니다. 각 플레이어는 카드를 한 장씩 뽑아 가장 하이 카드를 선택하기도 합니다. - 하프 벳 (half bet)
: 쌓인 팟의 절반을 베팅하는 것으로, ‘하프’라고도 합니다. - 하이잭 (HJ; high jack)
: 컷오프 자리 바로 오른쪽에 위치한 자리를 말합니다. - 핸드 (hand)
: 포커에서 플레이어가 규칙에 따라 구성하는 5장의 카드 세트를 말합니다. 각 핸드는 순위가 있으며, 이를 통해 대결하는 핸드 중 누가 팟에서 승리할지 결정됩니다. - 핸드 레인지 (hange of hands)
: 플레이어가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카드의 범위를 의미합니다. - 핸드 히스토리 (hand history)
: 플레이했던 핸드에 대한 기록으로, 이를 통해 자신의 세션을 되짚어보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. - 헤드업 (head-up)
: 두 명이 참여해 진행되는 포커 게임으로, 1대1 대결을 뜻합니다. ‘헤즈업 포커’라고도 불리며, 이 순간이야말로 포커의 진정한 묘미를 느낄 수 있는 순간이라고들 합니다. - 홀 카드 (hole cards)
: 핸드 카드’와 같은 의미로, ‘포켓 카드’라고도 불립니다. - 히어로 콜 (hero call)
: 상대방이 블러핑이라고 의심되는 상황에서, 자신의 핸드가 상대적으로 약함에도 불구하고 콜을 하는 행위를 말합니다.
ABC
- GTO (Game theory optimal)
: 최적 게임 이론: 이론적으로 완벽한 전략을 의미하며, 상대의 행동과 상관없이 수익을 극대화하도록 설계된 전략입니다. - PFR (Pre-Flop Rais)
: 이는 한 플레이어가 프리플랍 단계에서 레이즈를 한 빈도를 퍼센트로 나타낸 것으로, 플레이어의 공격적인 성향을 파악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. - TPGK (Top Pair Good Kicker )
: 커뮤니티 카드와 일치하는 가장 높은 페어와 높은 키커를 가진 경우를 뜻합니다. - TPTK (Top Pair Top Kicker)
: 커뮤니티 카드와 일치하는 가장 높은 페어와 최상의 키커를 가진 상황을 의미합니다. - TPNK (Top Pair No Kicker)
: 커뮤니티 카드와 일치하는 가장 높은 페어가 있지만, 키커가 없는 경우입니다. - VPIP (Voluntarily Put money In Pot)
: 플레이어가 자발적으로 팟에 베팅하는 빈도를 나타냅니다. - WTSD (Went to Showdown)
: 플레이어가 핸드를 끝까지 가져가 쇼다운에 참여한 빈도를 뜻합니다. - W$SD (Won money at showdown)
: 쇼다운에서 돈을 딴 빈도: 쇼다운에서 승리하여 팟을 차지한 빈도를 나타냅니다. - WMSD (Won Money When Saw the Flop)
: 플랍을 본 후 그 판에서 승리하여 돈을 딴 빈도를 의미합니다.
123
- 3벳 (three-bet)
: 3번째 베팅을 의미합니다. 프리플랍에서 빅 블라인드가 1번째, 오픈 레이즈가 2번째이며, 그다음이 3번째 베팅으로 ‘쓰리벳’이라 합니다.
방금 배운 포커 용어를 코인포커의 다양한 포커 게임에서 활용해보세요!
텍사스 홀덤부터 오마하, 7 카드 스터드까지 다양한 변형 게임을 통해 포커 실력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. 이론과 실전을 결합하여 진정한 포커 마스터로 거듭나세요.